자동차검사는 차량 안전과 환경 보호를 위해 반드시 이행해야
하는 법적 의무입니다.
검사 기간을 놓치면 과태료가 부과되고, 미납이 길어지면 불이익도 커질 수
있습니다.
아래에서 과태료 금액·조회·납부·이의신청까지 실전 가이드를
한 번에 확인하세요.
아직 한국교통안전공단(TS)·차량등록사업소 단계라면 정부24·위택스에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.
이 경우 차량등록사업소 또는 TS 고객센터(1577-0990)로 문의하세요.
📅 과태료 부과 기준과 금액
검사 유효기간이 지나면 다음 날부터 과태료가 부과됩니다.
30일 이내에는 기본 과태료, 31일 이후부터는
3일 초과마다 2만 원씩 가산되며,
최대 60만 원까지 늘어날 수 있습니다.
| 기간 | 부과 금액 | 비고 |
|---|---|---|
| 1~30일 | 4만 원 | 기본 과태료 |
| 31일 이상 | 3일 초과마다 2만 원 가산 | 최대 60만 원 한도 |
※ 기준: 한국교통안전공단·정부24·지자체(위택스) 안내 종합 / 2025년 10월 기준
🔍 과태료 조회 방법
- 정부24에서 “자동차검사 과태료 조회” 검색 → 지자체 고지 건만 조회 가능
- 위택스(WeTax) → 지방세외수입 메뉴 → 과태료 조회/납부 (지자체 세외수입 이관 건)
- 차량등록사업소 또는 한국교통안전공단(TS) 문의 → 정부24·위택스에 표시되지 않는 건 확인
팁: 정부24·위택스에서 검색이 안 되면 “아직 지자체 이관 전
단계”일 가능성이 큽니다.
고지서가 시청·군청 명의로 발송된 경우에는 정부24·위택스에서
확인 가능성이 높습니다.
▶ 교통안전공단 고객센터:
고객콜센터 페이지 바로가기
▶ 검사 유효기간 조회/예약:
TS 사이버검사소
💳 과태료 납부 방법 한눈에
온라인 납부
- 정부24·위택스 (지자체 고지·세외수입 이관된 건)
- 차량번호 또는 고지번호 입력 후 카드결제·계좌이체 가능
- 처리 즉시 반영, 방문 불필요
오프라인 납부
- 고지서 지참 후 은행·우체국 창구 납부
- 일부 지역은 편의점·무인민원발급기 납부 가능
신속 납부로 가산금 누적을 방지하세요.
⏳ 납부 유예 및 이의신청
해외 체류, 입원 등 불가피한 사유가 있다면 납부 유예 신청이
가능합니다.
과태료 부과일로부터 60일 이내에 이의신청서를 제출해야 하며,
사유를 증빙할 서류를 함께 첨부해야 합니다.
⚠️ 미납 시 불이익
- 가산금·중가산금 누적 발생
- 장기 체납 시 운행정지 명령, 명의이전·말소 제한
- 체납 이력으로 인한 각종 불이익
📱 예방 팁
- 자동차민원 대국민포털 또는 자동차등록증으로 검사 유효기간 수시 확인
- 교통안전공단 문자 알림 서비스 신청으로 검사 시기 놓치지 않기
- 검사 만료 전후 31일 이내 예약 시 과태료 없이 정상 처리
- 온라인 예약으로 대기시간 단축 및 일정 관리 가능
자동차검사 과태료는 안전운행을 위한 경고신호입니다.
정부24·위택스에서 조회되지 않더라도,
차량등록사업소·교통안전공단을 통해 반드시 확인해 불필요한
가산금과 불이익을 예방하세요.


